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신혼부부 돈 관리 잘하는 방법, 자산관리 꿀팁 총 정리

by 다같이 부자 됩시다 2023. 9. 22.

안녕하세요 흥댕 부부 입니다.

요즘 저희는 내년부터 제대로 청약을 넣어보기 위해 기본 계약금 부터 모아보자라는 생각으로 요즘 알뜰하게 돈을 아끼고 있습니다.ㅎㅎㅎ

투자 vs 저금

많은 신혼부부들이 요즘은 통장을 잘 합치는지 모르겠네요 ㅠ

사실 돈을 잘 모으는 방법은 깨끗하게 서로의 수익을 공개하고 돈을 절약하면서 사용하는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ㅎㅎㅎ

저는 투자도 해보고 저금도 해본 경험이 있고 저희 와이프는 저금만 하던 사람이라서 이런 부분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ㅎㅎㅎ

 

아 물론 저희가 답이라는건 아니고요 ㅠㅠ

그냥 저희 생각을 공유 드리는 부분 입니다 ㅎㅎ

 

저희 같은 경우 투자든 저금이든 무조건 공부를 해서 하는 스타일 입니다.

남들의 말을 듣고 그냥 하다보면 한 두번은 대박이 터지지만 어느순간 망하는걸 보기도 보고, 저도 당해봐서 입니다 ㅎㅎ

 

그래서 저희집의 경우 요즘 시황에 맞게 투자 5% 저금 95% 체제로 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상세하게 하나하나 설명해보록 하겟습니다.

 

투자는 이렇게 하고 있어요 ^^

투자 부분은 다음에 상세하게 말씀드리겠지만, 가장 오랫동안 공부한 대형 주식을 여러가지 사회 이슈로 많이 떨어졌을때 사고 다시 평균 가격이 되었을때 팔아서 작지만 천천히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날때마다 공모주에 도전을 해서 욕심을 부르지 않고 장 시작하자 말자 팔다보니 소소하게 수익을 내고 잇습니다

 

공모주의 경우에는 경쟁률은 최소 700 ~ 800이 넘는 공모주만 골라서 하고 있습니다.

이런 공모주가 크게 손해를 보지 않더라구요 ㅎㅎㅎ

 

※ 공모주 투자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 부탁 드립니다!

https://jobworker.tistory.com/entry/%EC%A0%84%EB%9E%B5%EC%A0%81-%EA%B3%B5%EB%AA%A8%EC%A3%BC-%ED%88%AC%EC%9E%90-%EB%B0%A9%EB%B2%95-%EA%B3%B5%EC%9C%A0-%EC%9D%B4%EB%A0%87%EA%B2%8C-%EC%A4%91%EA%B0%84%EC%9D%80-%EA%B0%84%EB%8B%A4-%EA%BF%80%ED%8C%81

 

전략적 공모주 투자 방법 공유 (이렇게 중간은 간다 + 꿀팁)

안녕하세요. 흥댕부부 입니다. 오늘은 알고 있으면 유용한 생활정보를 공유 하기 위해 제가 알아본 자료를 공유 드리오니 조금만한 정보라도 참조해서 다들 부자 되세요!! 정보가 유용했다면 댓

jobworker.tistory.com

 

크지 않은 금액만 하다보니 큰 수익은 없지만 지금 저희부부는 최소한의 대출로 청약을 도전하고 싶다보니, 안정적인 방법으로 도전하고 있습니다 ㅎ

 

이건 개인적인 투자 방법이니 ㅎㅎ 그냥 참고만 부탁드려요 ㅎㅎㅎ

그리고 개인적으로 제발 주식은 무슨 회사인지, 매출이 어떻게 되는지, 앞으로 전망이 있는지는 알아보고 주식을 사시는걸 추천드릴게요 ㅠㅠㅠ 그걸 모르면 손절각도 보기 어렵고 적정 매매가격도 알수 없더라구요 ㅠ

 

저금은 이렇게 하고 있어요 3.3

저희는 사실 저금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최근에 전세 집에 들어오면서 많은 돈을 다 쓰고, 일부 대출도 받다보니 ㅠ 여러모로 현금의 중요성을 느꼇고 

요즘 대출금리가 점점 오르더라구요 ㅠㅠㅠ 금리만큼 제가 투자를 안정적으로 해서 좋은 결과를 낼 자신도 없었구요 ㅠㅠ

그래서 최대한 이득을 볼 수 있는 방법으로 적금을 많이 넣고 있습니다.

 

1. 저축은행 예금/적금

먼저 적금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예금자보호법으로 보호받을수있는 최대 금액만큼을 저축은행 예금/적금으로 넣고 있습니다.

사실 저축은행이 1금융권에 비해 불안한건 사실이지만, 나라에서 보증해주는 예금자보호 금액 안으로만 넣으신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거라고 생각 됩니다 ㅎㅎㅎ

 

자 그러면 어디 저축은행을 넣어야 할지 막막하시죠?

사실 맞습니다.

저축은행이 각 지역에 정말 무수히 많다보니 비교를 하기가 어려운데요 ㅎㅎㅎ

그런 부분을 도와드릴수 있는 방법이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 부탁 드립니다.

 

 

 

이 처럼 저축은행을 최대한 비교하여 원하는 예금와 적금을 넣어서 저축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2. 파킹통장 

저희는 결혼을 하고나서 매달 지출내역을 서로 분석하여 정말 최대한 모든 금액을 예금/적금에 넣고 있습니다.

다만 경조사나 성과금, 생활비 절약 등으로 어느정도 남은 돈이나 비축할 비상금을 그냥 일반 은행 계좌에 넣지 않고

파킹통장에 넣어서 매월 소소하게 이자를 받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이 먼지 궁금하시죠? 

제가 작성한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하시니 ㅎㅎㅎ 확인 바랍니다.

https://jobworker.tistory.com/entry/%EC%9E%A0%EC%9E%90%EB%8A%94-%EB%8F%88-%ED%99%9C%EC%9A%A9%EB%B2%95-%EC%8B%A0%ED%98%BC%EB%B6%80%EB%B6%80-%EA%BF%80-Tip-%EC%9E%90%EC%9C%A0%EC%9E%85%EC%B6%9C%EA%B8%88-%EC%98%88%EA%B8%88-%ED%8C%8C%ED%82%B9%ED%86%B5%EC%9E%A5-%EC%B4%9D%EC%A0%95%EB%A6%AC

 

잠자는 돈 활용법, 신혼부부 꿀 Tip 자유입출금 예금 파킹통장 총정리

안녕하세요. 흥댕 부부 입니다. 요즘 계속 몸이 안좋아서 글을 많이 작성 못했네요 ㅠㅠ 오늘은 저희 집에서 저랑 와이프가 매월 하는 입,출금 내역 정리를 하다가 보니 비상시에 활용할 금액으

jobworker.tistory.com

 

생활비 줄이는 꿀팁 정리

1. 오븐, 밥솥, 집 전기, 온수 미사용시 끄기

다들 아시는지 모르겠지만 생각보다 우리 집 전기료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게 시원하게 만드는거와 뜨겁게 만드는 전기제품 입니다.

저도 몰랐었는데, 뉴스에서 나오더라구요 ㅋㅋㅋㅋ

그래서 많은 집에서 귀찮아서 밥솥에 밥을 계속 보온으로 몇시간이나 놔두시는데, 저희는 그냥 지은 밥을 바로 소분하여 냉동실에 얼려서 밥솥 전원을 최대한 끄고 있습니다!

 

물론 오븐도 마찬가지로 미사용일때는 아예 코드를 뽑습니다 ㅋㅋㅋ

 

온수는 오해를 하실만한데, 샤워할때 온수를 안쓰는게 아니고 ㅋㅋㅋㅋㅋㅋㅋㅋ 세탁을 할때 온수가 아닌 냉수를 선택해서 쓴다는 뜻 이었습니다 ㅋㅋㅋㅋ

이렇게 ㅋㅋㅋㅋㅋ 제가 글을 잘 못씁니다 ㅋㅋㅋㅋ

세탁에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저희 집은 1년 동안 그렇게 세탁을 했으니 ㅋㅋㅋ 크게 문제 없는게 증명됬다고 생각 합니다.

 

마지막으로 집에서 안쓰는 전기는 다 콘센트를 끄거나 1차 전원을 차단해두었습니다 ㅋ

 

 

이렇게 하다보니 매달 나오는 아파트 관리비에서 전기료 부분은 동일평수대의 50%도 안나오더라구요 ㅋㅋㅋㅋ

큰 금액은 아니지만 이런 작은 금액을 아끼는 것도 좋은 습관이라고 생각 됩니다 ㅎㅎㅎ

 

2. SNS 활동 하기

저희집 한달 생활비 사용 내역을 분석해보면 항상 가장 크게 차지하는 부분이 외식비였습니다!

그렇다고 어떻게 밖에 나가서 ㅠㅠㅠ 바람도 안쐴수 없지 않겠습니다 ㅠ

이렇게 열심히 사는것도 좋은데 ㅠ 이 시절에 사랑하는 사람와 좋은걸 보고 좋은걸 먹고 좋은시간을 보내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 하였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한건 바로 SNS 활동으로 협찬을 받아 외식비를 줄이는 거였습니다.

그래서 몇개월동안 열심히 SNS 활동을 하여 현재 아래와 같이 블로그에서 여러 협찬을 받아 외식비도 크게 줄였습니다

※ 제가 운영중인 네이버 블로그 입니다

https://blog.naver.com/whwogmd1212

 

우리동네 맛집상궁 : 네이버 블로그

1. 직접 다녀온 곳만 적어놨어요ㅎㅎ 신뢰도 100% 정보 2. 최고의 가성비만 생각하여, 올려놓은 자료 입니다 ㅎ 3. 언제든 문의는 Q&A 칸에 남겨주세요. ㅎㅎ 4. 여행 계획 준비중이신 많은 분들이 혜

blog.naver.com

 

지금까지 제가 생각한 신혼부부 자산관리 꿀팁 이었습니다.
혹시나 제가 생각지 못한 좋은 방법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ㅎㅎㅎ
서로 좋은 자산관리 방법은 공유하는게 좋지 않겠습니까?
우리모두 잘 살아봐요 ㅠㅠㅠ 제발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