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흥댕 부부 입니다.
요즘 저희 부부는 한달에 아주 소액으로 소소하게 공모주를 통해서 약간의 소득을 얻고 있습니다.
일단 경쟁률이 쎄고 금액이 높은 곳에는 꼭 넣는 편인데
정확한 내용을 잘모르고 하다보니
한번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균등배정, 비례배정 그게 먼가?
공모주 청약 방법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공모주 균등 비례에 관한 단어를 자주 접한다.
이 말이 무슨 의미인지 알아야지 투자를 할 금액와 방향을 정확히 정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균등배정
말 그대로 동일하게 나눈다는 의미로
100개의 공모주에 100명이 신청했다면 똑같이 1주씩 공평하 게 나누어 갖는것이다.
이때, 1000명이 동시에 신청 했다면 동일하게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추첨을 통해 배정 한다.
추첨이라는 이유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달려들고 이로 인해 경쟁률이 매우 높다.
경쟁률이 높다면 1주도 배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균등배정은 최소 수량만 신청을 해도 1주 이상을 받을 확률이 높 기 때문에 우리처럼 용돈을 벌 생각으로 투자를 하는 모든 분들이라면 가장 유리한 방법이다.
그래서 저는 균등배정이면 무조건 최소한의 돈을 꼭 넣어요 ㅎㅎㅎㅎ

비례배정
말 그대로 신청한 공모주 수량만큼 더 많은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다.
즉, 투자한 돈이 많은 수록 주식 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경쟁률 100:1이라는 가정하에 1,000주를 신청했다면 10주를 받고, 2,000 주를 신청했다면 20주를 받게 된다.
많은 수량을 신청한 만큼, 많은 돈을 쓴 만큼 많은 배정을 받게 된 다.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은 따로 신청하지 않고 공모주 청약할 때 자동 신청 된다.

균등배정은 왜 생겻나?
균등배정이 생긴 이유는 공평하게 모든 소액투자자에게도 기회를 주기 위하여 생겼다고 보면 된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공모주라는 것 자체가 부자들이 하는거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과거에는 그런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부자들에게만 기회가 생기는 방식 에 불만을 품고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금융위원회에서 누구나 공평하게 청약 기회가 주어지도록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100주가 일반 투자자에게 배정 된다면 균등배정 50%, 비례배정 50%씩 똑같이 청약 진행이 된다.
이 때 중 요한 포인트는 균등 배정 비율이 최소 50%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례배정으로 50%가 확보되었으니 소액투자는 비례배정에서 도전을 하고
돈이 많은 부자들은 비례배정에서 경쟁하게 된다.

중복청약 금지
위처럼 균등 배정을 시행하고 나니 1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건 최소증거금만 내면 1주를 받을 수 있기 때문 에 2개 이상의 증권사에서 청약을 진행하면 우후죽순으로 계좌를 만들어 청약하는 계좌는 늘어나고, 신청계 좌가 늘어나니 당연히 경쟁이 치열해지게 되었다.
그래서 이후에는 1개의 증권사에서만 청약을 할 수 있게 계정이 되었다.

오늘의 정리!!!!
균등 배정
1. 동일하게 공모주 배정
2. 신청자가 많으면 추첨 통해 배정
3. 소액투자자에게 유리
비례배정
1. 신청 수량에 따라 공모주 배정
2. 고액 투자자에게 유리
3. 2021년 청약 방법의 변화
4. 공평한 배정 위해 균등배정과 중복청약금지가 시행됨
괜찮은 종목이 있으면 균등배정으로 도전하셔서 최소한 몇주라도 받으시면 좋겠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적 공모주 투자 방법 공유 (이렇게 중간은 간다 + 꿀팁) (0) | 2023.09.19 |
---|